[프로그래머스] 과제 진행하기

728x90

문제 설명


과제를 받은 루는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과제를 하려고 계획을 세웠습니다.

과제는 시작하기로 한 시각이 되면 시작합니다.
새로운 과제를 시작할 시각이 되었을 때, 기존에 진행 중이던 과제가 있다면 진행 중이던 과제를 멈추고 새로운 과제를 시작합니다.
진행중이던 과제를 끝냈을 때, 잠시 멈춘 과제가 있다면, 멈춰둔 과제를 이어서 진행합니다.
만약, 과제를 끝낸 시각에 새로 시작해야 되는 과제와 잠시 멈춰둔 과제가 모두 있다면, 새로 시작해야 하는 과제부터 진행합니다.
멈춰둔 과제가 여러 개일 경우, 가장 최근에 멈춘 과제부터 시작합니다.
과제 계획을 담은 이차원 문자열 배열 plan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과제를 끝낸 순서대로 이름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3 ≤ plans의 길이 ≤ 1,000
plans의 원소는 [name, start, playtim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name : 과제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2 ≤ name의 길이 ≤ 10
name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name이 중복되는 원소는 없습니다.

 

start : 과제의 시작 시각을 나타냅니다.

"hh:mm"의 형태로 "00:00" ~ "23:59" 사이의 시간값만 들어가 있습니다.
모든 과제의 시작 시각은 달라서 겹칠 일이 없습니다.
과제는 "00:00" ... "23:59" 순으로 시작하면 됩니다. 즉, 시와 분의 값이 작을수록 더 빨리 시작한 과제입니다.


playtime : 과제를 마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단위는 분입니다.
1 ≤ playtime ≤ 100
playtime은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배열은 시간순으로 정렬되어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진행중이던 과제가 끝나는 시각과 새로운 과제를 시작해야하는 시각이 같은 경우 

진행중이던 과제는 끝난 것으로 판단합니다.

 

문제해설

본 문제는 딱 보면 알겠지만, 방 번호, 회의실 배정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그 말은 즉슨, 그리디 유형이라는 것이다.

 

그리디 유형에 대해 더욱 공부하고자 한다면, 아래 링크를 보고와도 좋다.

https://today-knowlodge.tistory.com/15

 

그리디 알고리즘 (Greedy) 완전 정복하기 (백준 11914 거스름돈)

그리디 알고리즘 : 현 상황에서 가장 좋은 것들만 고르는 방법 (탐욕 알고리즘이라고도 불린다.) 그리디 알고리즘의 특징매 순간 가장 좋은 (점수가 높은) 것만을 선택하며 현재 선택이 미래에

today-knowlodge.tistory.com

 

 

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그리디 유형에 맞게 당장 해야하는 일을 현 시점에서 좋아보이는 방법대로 수행하면 된다.

 

현 시간에 예정되어 있던 과제가 있다면, 그것을 바로 수행해야 한다.

종료 후 다음 과제시간 까지 시간이 남은 경우, 완료하지 못한 과제를 최신순으로 진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First In Last Out의 자료형인 Stack을 활용해야 한다.

 

plans 배열에는 계획되어 있던 시간과, 과제를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주어진다.

따라서 stack에 넣을 때 남은 시간을 정리해서 넣어주면 된다.

 

이 때, 본인은 시간을 해결하기 위해 split을 하고 60을 곱해서 모든 시간을 분으로 변환했다.

(남은 시간이 분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계산이 유리할 것이라 판단했다.)

그 후, plans 배열은 정렬되어 있지 않기에, 시작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시켜주었다.

 

Stack을 활용해서 중간에 접어두게 된 과제들을 stack에 넣고,

시간이 남을 때마다 꺼내서 남은 시간을 업데이트 한다.

 

그리고 남은 시간이 없는 과제는 answer 배열에 담아준다.

또한 다음 과제가 없는 경우, 메인 루프는 종료하면 된다.

 

그리고 stack에 있는 요소를 순서대로 빼면서 answer 배열에 담아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답 코드는 아래와 같다.

정답코드

def time_to_minute(time):
    return int(time.split(':')[0]) * 60 + int(time.split(':')[-1])

def solution(plans):
    # 시간 변환 및 정렬
    plans = sorted([[subject, time_to_minute(time), int(duration)] for subject, time, duration in plans],
                   key=lambda x: x[1])
    
    stack, answer = [], []
    
    while plans:
        # 현재 과제와 다음 과제 설정
        cur = plans.pop(0)
        now = cur[1]
        
        if plans:  # 아직 다음 과제가 남아있다면
            next_cur = plans[0]
            
            # 과제를 끝내기 전에 다른 과제가 시작하는 경우
            if now + cur[2] > next_cur[1]:
                stack.append([cur[0], -1, cur[2] - (next_cur[1] - now)])
            # 과제를 끝내고 남은 시간 확인 및 스택 검사
            elif now + cur[2] <= next_cur[1]:
                answer.append(cur[0])
                now += cur[2]
                
                while stack:
                    check = stack.pop()
                    remained_time = check[2]
                    if now + remained_time <= next_cur[1]:  # 남은 시간 내에 끝낼 수 있는 경우
                        answer.append(check[0])
                        now += remained_time
                    else:  # 남은 시간 내에 끝낼 수 없는 경우
                        stack.append([check[0], -1, remained_time - (next_cur[1] - now)])
                        break
        else:
            # 남은 과제 처리
            answer.append(cur[0])
    
    # 스택에 남은 과제 처리
    while stack:
        sub = stack.pop()
        answer.append(sub[0])
    
    return answe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