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2024 KAKAO WINTER INTERNSHIP 가장 많이 받은 선물 - 파이썬

728x90

 

2024 KAKAO WINTER INTERNSHIP 가장 많이 받은 선물

 

문제설명

선물을 직접 전하기 힘들 때 카카오톡 선물하기 기능을 이용해 축하 선물을 보낼 수 있습니다. 당신의 친구들이 이번 달까지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을 바탕으로 다음 달에 누가 선물을 많이 받을지 예측하려고 합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있다면, 이번 달까지 두 사람 사이에 더 많은 선물을 준 사람이 다음 달에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예를 들어 A가 B에게 선물을 5번 줬고, B가 A에게 선물을 3번 줬다면 다음 달엔 A가 B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두 사람이 선물을 주고받은 기록이 하나도 없거나 주고받은 수가 같다면, 선물 지수가 더 큰 사람이 선물 지수가 더 작은 사람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선물 지수는 이번 달까지 자신이 친구들에게 준 선물의 수에서 받은 선물의 수를 뺀 값입니다.
    • 예를 들어 A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10개라면 A의 선물 지수는 -7입니다. B가 친구들에게 준 선물이 3개고 받은 선물이 2개라면 B의 선물 지수는 1입니다. 만약 A와 B가 선물을 주고받은 적이 없거나 정확히 같은 수로 선물을 주고받았다면, 다음 달엔 B가 A에게 선물을 하나 받습니다.
    • 만약 두 사람의 선물 지수도 같다면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지 않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규칙대로 다음 달에 선물을 주고받을 때, 당신은 선물을 가장 많이 받을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알고 싶습니다.

친구들의 이름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friends 이번 달까지 친구들이 주고받은 선물 기록을 담은 1차원 문자열 배열 gift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다음 달에 가장 많은 선물을 받는 친구가 받을 선물의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2 ≤ friends의 길이 = 친구들의 수 ≤ 50
    • friends의 원소는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는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진 길이가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이름이 같은 친구는 없습니다.
  • 1 ≤ gifts의 길이 ≤ 10,000
    • gifts의 원소는 "A B"형태의 문자열입니다. A는 선물을 준 친구의 이름을 B는 선물을 받은 친구의 이름을 의미하며 공백 하나로 구분됩니다.
    • A와 B는 friends의 원소이며 A와 B가 같은 이름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friends gifts result
["muzi", "ryan", "frodo", "neo"] ["muzi frodo", "muzi frodo", "ryan muzi", "ryan muzi", "ryan muzi", "frodo muzi", "frodo ryan", "neo muzi"] 2
["joy", "brad", "alessandro", "conan", "david"] ["alessandro brad", "alessandro joy", "alessandro conan", "david alessandro", "alessandro david"] 4
["a", "b", "c"] ["a b", "b a", "c a", "a c", "a c", "c a"] 0

 

 

문제해설

본 문제는 주로 순회할 friends의 최대 길이는 50이기에 시간적으로는 거의 제한이 없다고 봐도 무방했다.

그저 문제를 해결할 아이디어를 얼마나 빠르게 얻을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조건을 읽어보면 준 사람과 받은 사람을 1:1로 비교해서 아래의 요소를 찾아나가는 문제이다.

 

1. 누가 더 많은 선물을 주었는가?

2. 같은 수의 선물을 주고 받았다면, 누가 다른 사람에게 선물을 더 많이 주었는가?

(선물을 주고 받은 수가 같으면 선물 지수를 계산하여 더 높은 사람이 선물을 받는다.)

 

여기서 선물 지수란, A라는 사람이 선물을 준 만큼 받았는가를 평가하는 지표이다.

즉, 선물을 많이 주면서, 조금 받은 사람은 다음 달에 가장 많이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순서대로 봐도 어느정도 구색이 잡히는데,

이번 문제는 문제 자체에서 제시한 예시에 대한 설명에서 정답을 쉽게 찾을 수 있었다.

 

입출력 예시

 

문제에서는 위와 같은 입출력에 대한 예시를 제공했는데, 여기서 muzi의 경우만 차근차근 살펴보자

 

순서 설명 결과
1 muzi는 ryan에게 선물을 주지 않았고, ryan은 3개의 선물을 muzi에게 주었다. ryan은 선물을 받는다.
2 muzi는 frodo에게 2개의 선물을 주었고, frodo에게 1개를 받았다. muzi는 선물을 받는다.
3 muzi는 neo에게 선물을 주지 않았고, neo는 muzi에게 선물을 주었다. neo는 선물을 받는다.

 

이렇게 muzi를 한 번 순회할 때, 비교하는 값의 위치를 잘 살펴보자

 

muzi와 ryan - ryan과 muzi

 

이제 이해가 되었을 텐데, 이 문제는 matrix의 절반만 순회하면 풀 수 있는 문제이다.

바로 symmetric matrix 구조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대각선을 기준으로 좌, 우 행렬의 값을 비교하고 선물의 주고 받음을 비교하면 된다.

 

Symmetric matrix

 

위와 같은 방식으로 값을 비교하며, row의 target이 column의 대상에게 얼마나 선물을 주고 받았는지 비교한다.

비교한 값을 토대로 선물의 값을 지정해주면 된다.

 

제한사항도 거의 없는 수준이라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였다.

 

정답코드

def solution(friends, gifts):
    mat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_ in range(len(friends))]
    f_index = {friend:i for i, friend in enumerate(friends)}

    for gift in gifts:
        f, t = gift.split()
        mat[f_index[f]][f_index[t]] += 1
    
    # 선물지수 계산
    gift_score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i, cur in enumerate(mat):
        gift_score[i] += sum(cur)
        for i, c in enumerate(cur):
            gift_score[i] -= c
    
    # 서로 선물 교환 진행
    answer = [0 for _ in range(len(friends))]
    
    for i in range(len(mat)):
        for j in range(i+1, len(mat[0])):
            # 내가 더 많이 준 경우
            if mat[i][j] > mat[j][i]:
                answer[i] += 1
            # 내가 더 많이 받은 경우 
            elif mat[i][j] < mat[j][i]:
                answer[j] += 1
                
            # 서로 같은 경우 (선물지수 비교)
            else:
                if gift_score[i] > gift_score[j]:
                    answer[i] += 1
                elif gift_score[i] < gift_score[j]:
                    answer[j] += 1
        
    return max(answe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