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정수를 저장하는 스택을 구현한 다음,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명령은 총 다섯 가지이다.
- push X: 정수 X를 스택에 넣는 연산이다.
- pop: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그 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 size: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
- empty: 스택이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을 출력한다.
- top: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 만약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1을 출력한다.
입력
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1 ≤ N ≤ 1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 100,000보다 작거나 같다.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
출력
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문제해설
이번 문제는 자료구조인 스택을 잘 알고 있는지를 문제를 낸 것인 것 같다.
사실, C++에서 문제를 내면 조금 어려울 수도 있는데, 파이썬으로는 너무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인 것 같다.
각 명령어에 맞게 해결해주면 된다.
보통 파이썬에서 Stack을 구현하게 된다면, push연산은 append로
pop 연산은 pop()으로 수행해주면 된다.
(가장 늦게 들어온 것을 가장 빨리 빼주는 형태)
또한 스택이 비어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해결해주면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정답코드
n = int(input())
stack = []
for _ in range(n):
command = input().split()
if command[0] == 'push':
stack.append(command[1])
elif command[0] == 'pop':
if stack:
print(stack.pop())
else:
print(-1)
elif command[0] == 'size':
print(len(stack))
elif command[0] == 'empty':
print(1 if not stack else 0)
elif command[0] == 'top':
if stack:
print(stack[-1])
else:
print(-1)
728x90
'CodingTest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백준 1463 1로만들기 문제풀이 및 정답코드 (1) | 2024.12.17 |
---|---|
[Python] 백준 1149 RGP거리 문제풀이 및 정답코드 (0) | 2024.12.16 |
백준 1550 16진수 - Python (0) | 2024.12.09 |
백준 30647 점수관리 - Python (0) | 2024.12.07 |
백준 1260 DFS와 BFS - Python (0) | 2024.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