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os
라이브러리는 파이썬에서 운영 체제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파이썬에서는 경로를 String으로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 보다는 os 라이브러리를 통해 다루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1. 파일 경로 정보 불러오기
os.path
서브 모듈을 통해 파일의 경로가 존재하는 지에 대한 여부를 불러올 수 있다.
import os
#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file_path = "example.txt"
if os.path.exists(file_path):
print(f"{file_path} 파일이 존재합니다.")
else:
print(f"{file_path} 파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 주요 함수:
os.path.exists(path)
: 지정된 경로에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있는지 확인.os.path.isfile(path)
: 경로가 파일인지 여부 확인.os.path.isdir(path)
: 경로가 디렉터리인지 여부 확인.
2. 파일의 크기와 수정 시간 확인하기
os.path
를 사용하여 파일의 크기나 마지막 수정 시간을 불러올 수 있다.
import os
file_path = "example.txt"
if os.path.exists(file_path):
file_size = os.path.getsize(file_path)
modification_time = os.path.getmtime(file_path)
print(f"파일 크기: {file_size} bytes")
print(f"마지막 수정 시간: {modification_time}")
- 주요 함수:
os.path.getsize(path)
: 파일의 크기(바이트 단위) 반환.os.path.getmtime(path)
: 마지막 수정 시간을 타임스탬프로 반환.
3. 디렉터리 내 파일 목록 가져오기
- 특정 디렉터리 내에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import os
directory_path = "."
files = os.listdir(directory_path)
print(f"{directory_path} 내의 파일 및 디렉터리 목록: {files}")
os.listdir(path)
: 지정된 디렉터리 내의 파일과 디렉터리 목록을 리스트 형태로 반환.
4. 파일 경로 결합하기
- 여러 경로를 결합하여 새로운 파일 경로를 만들 때는
os.path.join()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os.path.join을 사용하면 운영 체제에 맞는 경로 구분자를 자동으로 사용해주기 때문에, 추가로 발생할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import os
base_path = "/home/user"
file_name = "document.txt"
full_path = os.path.join(base_path, file_name)
print(f"결합된 파일 경로: {full_path}")
728x90
'Programming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das] 판다스 데이터프레임 컬럼 전처리, 함수 컬럼 적용 - apply, map (0) | 2024.11.24 |
---|---|
[정규표현식] 파이썬 정규표현식 종류 및 re 모듈 함수 사용법 (0) | 2024.11.19 |
[Pandas] 파이썬 판다스 - 데이터프레임 열 추가하기 (0) | 2024.11.09 |
깊은 복사와 얕은 복사 - 파이썬 새로운 객체 만드는 방법 (0) | 2024.11.05 |
[업무 자동화] 파이썬 코드로 메일 전송하는 방법 - 코드로 메일 전송하기 (2)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