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094번 막대기 - 파이썬
문제
지민이는 길이가 64cm인 막대를 가지고 있다. 어느 날, 그는 길이가 Xcm인 막대가 가지고 싶어졌다. 지민이는 원래 가지고 있던 막대를 더 작은 막대로 자른다음에, 풀로 붙여서 길이가 Xcm인 막대를 만들려고 한다.
막대를 자르는 가장 쉬운 방법은 절반으로 자르는 것이다. 지민이는 아래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막대를 자르려고 한다.
지민이가 가지고 있는 막대의 길이를 모두 더한다. 처음에는 64cm 막대 하나만 가지고 있다. 이때, 합이 X보다 크다면, 아래와 같은 과정을 반복한다.
가지고 있는 막대 중 길이가 가장 짧은 것을 절반으로 자른다.
만약, 위에서 자른 막대의 절반 중 하나를 버리고 남아있는 막대의 길이의 합이 X보다 크거나 같다면, 위에서 자른 막대의 절반 중 하나를 버린다.
이제, 남아있는 모든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든다.
X가 주어졌을 때, 위의 과정을 거친다면, 몇 개의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들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X가 주어진다. X는 64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출력
문제의 과정을 거친다면, 몇 개의 막대를 풀로 붙여서 Xcm를 만들 수 있는지 출력한다.
문제풀이
본 문제는 그리디로 해결했다.
처음에는 비트수 계산 문제인 줄 알고 비트로 확인해보려고 했으나,
마음처럼 해결되지 않아서 그리디로 해결했다.
매 순간, 나무를 자르고 절반의 길이와 지금까지의 합을 계산해서 버릴지 남길지 판단한다.
이를 전체 길이가 x보다 작을때까지 수행한다.
2배수 단위로 제곱근을 형성하기에 만들지 못하는 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아마 더 확인하면 이진으로도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은데, 비트계산으로 해결하는 것은
나중에 더욱 시도해봐야겠다.
정답코드
x = int(input())
current_length = 64
sticks = [current_length] # 초기 막대는 64cm 하나
total_length = current_length
while total_length > x:
# 가장 짧은 막대를 반으로 자르기
shortest = sticks.pop()
half_length = shortest // 2
# 절반 중 하나는 리스트에 다시 넣음
sticks.append(half_length)
# 절반 중 하나를 버릴지 결정 (남은 길이의 합이 X 이상일 경우 하나 버림)
if total_length - half_length >= x:
total_length -= half_length # 하나를 버림
else:
sticks.append(half_length) # 버리지 않고 다시 사용
print(len(st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