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Python
파이썬 리스트 딕셔너리 차이점 알아보기
사족보행 개발자
2025. 1. 1. 23:33
728x90
파이썬에서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
파이썬에서 리스트(List)와 딕셔너리(Dictionary)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구조이다. 이 글에서는 두 데이터 구조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사용 사례를 제시한다.
1. 리스트(List)란?
리스트는 파이썬에서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을 저장하는 자료형이다. 리스트는 인덱스를 사용하여 각 요소에 접근할 수 있으며, 다양한 자료형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 리스트 생성
fruits = ["apple", "banana", "cherry"]
print(fruits[1]) # 결과: banana
리스트의 주요 특징
- 순서 유지: 삽입한 순서대로 요소가 저장된다.
- 인덱스 접근: 각 요소는 0부터 시작하는 정수형 인덱스로 접근 가능하다.
- 변경 가능: 리스트의 요소를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있다.
# 리스트 요소 변경
fruits[1] = "blueberry"
print(fruits) # 결과: ["apple", "blueberry", "cherry"]
2. 딕셔너리(Dictionary)란?
딕셔너리는 키(key)와 값(value)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구조이다. 각 키는 고유해야 하며, 이를 통해 값에 접근할 수 있다.
# 딕셔너리 생성
person = {"name": "Alice", "age": 25, "city": "New York"}
print(person["name"]) # 결과: Alice
딕셔너리의 주요 특징
- 순서 유지 (파이썬 3.7부터): 키-값 쌍이 삽입된 순서를 유지한다.
- 키 접근: 키를 사용해 값을 검색할 수 있다.
- 변경 가능: 키-값 쌍을 추가, 삭제, 변경할 수 있다.
# 딕셔너리 값 변경
person["age"] = 26
print(person) # 결과: {"name": "Alice", "age": 26, "city": "New York"}
3.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점
특성 | 리스트 | 딕셔너리 |
---|---|---|
데이터 구조 | 순서가 있는 요소의 집합 | 키-값 쌍의 집합 |
접근 방법 | 인덱스로 요소 접근 | 키로 값 접근 |
순서 유지 | 유지됨 | 파이썬 3.7부터 유지됨 |
변경 가능 여부 | 가능 | 가능 |
사용 사례 | 데이터 목록 | 키워드 기반 데이터 저장 |
4. 사용 사례
리스트 사용 사례: 학생 점수 저장
# 학생 점수 리스트
scores = [85, 90, 78, 92]
# 평균 점수 계산
average = sum(scores) / len(scores)
print(f"평균 점수: {average}")
딕셔너리 사용 사례: 학생 정보 저장
# 학생 정보 딕셔너리
student = {"name": "Alice", "age": 20, "grade": "A"}
print(f"{student['name']}의 학년: {student['grade']}")
5. 결론
리스트와 딕셔너리는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며, 특정 작업에 적합한 자료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스트는 순서가 중요한 데이터를 다룰 때 유용하며, 딕셔너리는 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해야 할 때 적합하다. 파이썬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려면 두 자료구조의 차이를 잘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