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Science/Tableau

Tableau 데이터 라이브 연결 및 데이터 추출

사족보행 개발자 2024. 9. 18. 17:06
728x90

Tableau의 데이터 시각화를 위해선 데이터를 연결해야 한다.

 

이 때,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정의된다.

 

하나는 라이브연결이고 다른 하나는 추출(Extract)이라고 불린다. 

 

Tableau 데이터 연결 아이콘

 


라이브 연결

라이브 - 직접 연결

- 라이브 연결을 통해 관계형 데이터의 원본 또는 파일에 직접 연결된 경우


추출

추출

- 원통이 두 개인 경우, 데이터의 Snap Shot을 찍어내서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 데이터를 특정 시점에 고정하여 복제하는 것으로,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용량 관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Live Connection (라이브 연결) Extract (추출)
데이터를 연결하고 Tableau의 View를 새로고침 하면, 원본 데이터의 변경 사항을 바탕으로 업데이트 된다. 추출 시점의 데이터를 Snap-shot을 찍어낸 것이기 때문에, 추출 데이터 자체를 직접 수정하지 않는 이상, Tableau의 뷰는 유지된다.
(= 원본 데이터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한 데이터를 계속 보게 된다.)
데이터 원본과 연결되지 않으면,
Tableau를 실행할 수 없다.
추출 데이터의 파일이 존재하는 한,
Tableau 실행에는 문제가 없다.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을 때, 추출된 데이터는 연결이 끊어져도 사용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기 위해선,
데이터를 접근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추출 데이터의 경우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할 때,
별도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두 방식은 각각 언제 사용해야 할까?

 

1. 라이브 연결

데이터 원본의 변화를 태블로 문서와 동기화 시키고 싶을 때

최신 데이터를 사용해야 할 때

(주로 최신 데이터와의 동기화가 필요할 때 사용됨)

 

2. 추출

문서에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로딩 속도가 느려 태블로 문서의 속도가 저하될 때

방대한 데이터를 사용해서 대시보드를 작성할 때

오프라인 상태에서 네트워크를 연결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하고자 할 때

데이터 원본과의 동기화가 필요하지 않을 때

(주로 빠른 반응속도를 보여주기 위함,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접근이 필요하지 않기에 빠른 속도)

728x90